지난 4월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했던 민주당 김홍걸 의원은 전체 재산 58억 원 가운데 배우자 임 모 씨의 예금은 1억1천만 원이라고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했다.그런데 국회 입성 후 지난달 공개한 임 씨의 예금은 11억7천만 원, 다섯달 사이 10억 원 넘게 늘었다.
김홍걸 의원실은 배우자가 2016년 분양받은 서울 고덕동 아파트를 올해 2월에 판 돈이라고 답했다.
예금이 늘어난 이유를 해명하다 아파트 분양권을 누락한 게 드러난것
김홍걸 측은 분양권이 재산 신고 대상인지 몰랐을뿐더러, '분양권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몰랐다고 해명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올해 2월 거래된 분양권 가격은 12억3,500만 원.
2016년 분양가보다 2배 가량 올라
4년 새 시세차익은 6억 원
총선 당시 김 의원은 제대로 신고한 동교동 사저와 서초구와 강남구 아파트 외에 실제로는 강동구에도 아파트 한 채가 더 있었던 셈으로 3주택자가 아니라 4주택자였다.
누락한 재산은 또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3층짜리 상가 건물.
김 의원의 배우자 임 씨가 지난 2008년 동생에게 나머지 지분 절반을 사들여 소유권을 전부 넘겨받았다.하지만 김 의원은 최근 재산 신고에서 상가 대지 면적이 30제곱미터라 했다가 64제곱미터라고 하는 등 2차례 모두 허위신고한 사실이 확인됐다.
금액도 1억9천만 원, 5억8천만 원 등 그때그때마다 고무줄 이다.이 상가의 현재 시세는 10억 원이 넘는다.
김 의원실은 상가 허위 신고에 대해서는재산 등록을 대리했던 측근과 보좌진의 실수라고 해명했다.
김 의원이 누락한 재산을 시세를 감안해 따져보면, 총선 때는 분양권과 상가 등 18억 원, 지난달 국회의원 첫 재산 공개 때는 6억 원에 육박한다.
총선 당시 재산을 허위 신고하거나 고의로 누락할 경우 심하면 당선 취소도 가능하다.선관위는 아파트 분양권을 누락한 데 대해 소명 절차를 거치겠다고 밝혔고, 국회 감사관실도 상가 지분을 허위로 신고한 이유를 파악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