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희권 프로필 교수 나이 학력

반응형

신희권 프로필 교수 나이 학력

반응형

신희권은 고고학자이며 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이다.

반응형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중국사회과학원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반응형

1995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로 공직에 발을 들인 후 학예연구관을 거쳐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장과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 1997년부터 백제의 첫 왕성인 위례성으로 알려진 풍납토성 발굴조사를 주도하며 백제의 국가 형성과 도성에 관해 연구해 왔다.

반응형

2007년과 2008년에 경복궁 광화문과 숭례문 발굴의 책임을 맡으면서, 조선시대 궁궐과 한양도성으로 연구의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현재 문화재청과 서울시의 문화 재전문위원,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활동 중이다.

반응형

고고학과 문화재학을 전공한 계기는?
어릴적부터 옛것이나 미스터리에 관심이 많았다. 문헌을 바탕으로 하는 일반 역사학과 달리 고고학은 실제로 남아 있는 유적·유물을 발굴하며 역사적 의미를 찾아내는 학문이다. 그렇게 발굴한 고고학적 유산들을 연구하는 것이 문화재학이다. 기왕 역사를 연구하려면 직접 문화재를 다루는 쪽이 더 흥미롭다고 생각해 두 학문을 선택했고 지금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문화재 복원 중 기억에 남는 일화는?
복원을 위해 문화재 일부를 훼손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광화문 복원 도중 도로면 바로 밑에 있는 고종 시기 광화문 기초들을 들어내고 현대식 콘크리트 공법을 통해 기초를 튼튼하게 해야 했다. 그런데 처음 안전진단을 했을 때 고종 시기 광화문 기초는 물론 처음 경복궁을 만들었던 태조 시절 광화문 기초도 전부 들어내자는 의견이 있었다.

주요 저서로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창덕궁, 왕의 마음을 훔치다》, 《문화유산학 개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한양도성 복원 현황과 개선 방향〉, 〈風納土城 발굴조사를 통한 河南慰禮城 고찰〉, 〈百濟 漢城時代 都城制度에 관한 一考察-兩宮城制度를 中心으로-〉 등이 있다.

 

반응형